반응형

정월 대보름날 오곡밥과 나물, 부럼

정월 대보름은

음력으로 설날이 지나고 보름달이 처음으로 뜨는 날이다. 대보름 전날과 15일 당일엔 여러 마을에 새해의 여러 운수에 관한 풍습이 있다. 옛날 조상들은 설날보다 더 성대하게 보낸 명절이기도 한데 원래는 설날부터 대보름까지 축제를 했으며 이때는 빚독촉도 하지 않을 정도로 옛날에는 큰 축제였다. 그 이전엔 정월 대보름 다음날을 한 해의 시작으로 여겼다고 전해진다. 

 

정월대보름에는 오곡밥과 귀밝이술, 약밥, 건나물과 제철생선등 김과 취나물로 쌈을 싸 먹고 한해의 건강과 소원을 기원했다. 마을별로 제사를 지내는 곳도 있고 거 싸움과 석전 등 다양한 전통놀이를 하기도 했다. 

 

정월대보름 전해지는 놀이

설날처럼 휴일이 아니라 잘 인지가 안 됐지만 정월 대보름처럼 전통 풍속을 이어져 온 명절도 흔하지 않다. 대보름 전날 저녁에 아이들이 동네 집집마다 밥을 얻으러 다니고, 이날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변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잠을 자지 않고 참으며 있었는데 걔 중엔 못 참고 자버린 아이들은 어른들이 몰래 쌀가루나 밀가루를 발라서 놀리기도 했다. 

 

다음날 아침 대보름 당일엔 부럼 깨기와 귀밝이술을 시작으로 첫 우물을 떠서 찰밥을 띄우는 '복물 뜨기'도 하였다. 현재는 여러 지방 단체에서 주최를 하는 행사가 열리고 달집 태우기와 쥐불놀이를 하며 풍년을 비는 행사를 마무리로 정월대보름 행사를 끝냈다. 이날은 개에게 하루 굶기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는 여름철에 개에게 파리가 많이 꼬이고 개가 메마른다고 해서 생겼다고 한다. 이날의 즐거움을 즐기지 못하는 사람을 '개 보름 쇠듯'이라는 속담이 생기기도 했다.

 

정월 대보름 음식

지금의 음식들과 비교되지 않는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옛날에는 겨울철에 먹거리를 모두 동원해서 먹고 노는 전통적인 축제날이었다. 견과류와 온갖 묵은 나물들 그 당시에는 입맛을 사로잡는 먹거리들이었을 테다. 이날 갖가지 음식을 해서 먹은 것은 이어 봄에 농사를 대비해서 영양보충으로 했을 것이다.

  • 오곡밥 : 찰밥이라고도 하고 찹쌀과 기장, 수수, 서리태, 적두를 같이 밥을 해서 풍년을 기원하는 밥. 오곡밥이라고 하는 것은 과거 가을 추수 때 가장 잘 자라는 곡식들을 모아서 밥 한 공기에 담으면 좋고 일반 쌀이 아닌 찹쌀을 쓰기 때문에 바바물을 일반밥보다 적게 넣어야 한다. 약간의 소금을 넣어 간을 하기도 한다. 
  • 부럼 : 만사형통과 무사태평을 기원하면서 아침에 부럼을 나이 개수만큼 깨물어 먹은 관습. 이것을 '부럼 깨기'라고 하고 부럼을 깨물면서 부스럼이 나지 말라고 비는 관례이다. 의학적으로도 견과류는 불포화 지방산이 많고 영양소가 많아 건강에 좋고 적은 양으로도 높은 칼로리를 섭취해서 이 견과류를 먹음으로써 건강도 챙기니 좋은 관습이라고 볼 수 있다. 
  • 진채 : 묵은 나물. 버섯, 박, 콩, 순무, 무잎, 오이, 가지껍질 등인데 여름에 더위를 타지 말라고 나물을 준비했다고 한다. 대개 열아홉 가지를 준비하는데 충분하지 않다면 세 가지 정도로 한다. 이 진채에 포함되지 않은 나물은 호박잎, 도라지, 콩나물 등이 있는데 현재는 같이 먹는다. 
  • 팥죽 : 동지 때와 같이 악귀를 쫓는 의미이고 오곡밥을 만들 때 있는 팥으로 죽을 만들어 먹는다. 
  • 귀밝이술 : 이명주라고도 한다. 아침에 부럼을 깨고 동시에 찬 술을 마시는데 이름처럼 귀가 밝아지고 귓병을 막아주며 1년 동안 좋은 소식만을 오기를 바라는 희망의 술이다. 술이지만 이날만큼은 아이에게 주기도 한다.

 

정월 대보름 놀이

  • 달맞이 : 초저녁 달을 맞이하는 행위이고 보름달이 떠오르면 소원을 빈다.
  • 달집 태우기 : 정월 대보름날 달이 떠 오르면 짚단 모아놓은 것과 생소나무 가지를 묶어서 무더기에 쌓아 올린 " 달집"을 세운 후 불에 태워서 놀며 풍년을 기원하고 소원을 비는 풍습이다. 달집이 불에 활활 잘 타오르면 마을이 태평하고 그 해는 풍년이 될 거라고 점치기도 한다. 달집을 태우면서 풍물패들이 주변을 돌며 풍악을 울려준다.
  • 복토 훔치기 : 번화가와 부잣집의 흙을 가져와 자기 집의 부뚜막에 바르면 한 해 동안 생업이 잘되기를 기원하는 관습이다. 옛날에는 종로가 번화가라서 여기의 흙을 가져가는 경우가 많아 종로의 길을 보수하는 관원들이 고생했다고도 전해진다. 한두 주먹씩 가져가는 것을 넘어서 삽과 곡괭이로 아예 퍼가는 경우도 있어서 부잣집에는 아예 보초를 세워 흙을 퍼가는 일을 방지했다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 다리밟기 : 정월대보름 밤 다리를 밟으면 다리병을 앓지 않은다고 다리를 밟는 관습이다. 답교놀이 또는 답교라고 전국적으로 성행했다.
  • 더위 팔기 : 매서.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친구나 이웃을 찾아가 이름을 부르고 불린 사람이 무심코 대답을 하면 '내 더위 사가라'고 외친다. 이러면 더위가 대답한 사람에게 넘어가게 된다는 관습이다. 이와 반대로 더위를 팔려는 것을 눈치채고 대답 대신 '내 더위 사가라' 외치면 이름을 부른 사람이 오히려 더위를 사게 된다. 감당 못할 정도로 더위를 많이 산 사람은 엉엉 울다가 그 더위를 자신이 키우던 똥개에게 팔기도 했다.
  • 액막이 연 : 연을 날리다가 줄을 끊어 연이 멀리 날아가게 하는 관습. 정월 대보름 이후에는 연을 날리는 사람을 안 좋게 보았는데 이것은 대보름 이후부터 한 해 농사를 준비하는 바쁜 철이 기 때문이다.

 

 

 

 

반응형

'생활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마스크 의무 전면해제(해지) 권고로 전환  (0) 2023.02.04
챗GPT  (0) 2023.01.29
토정비결  (0) 2023.01.24
2023년 입춘  (0) 2023.01.23
발렌타인데이  (0) 2023.01.22

+ Recent posts